���� ����
에스엠중신
 
 
 
 


 
작성일 : 25-11-13 16:25
DTI washer 출하전 시험
 관리자 : 팬더
 

▶기능성 와셔,특수재질 및 스페셜 볼트,너트,와셔,특수가공제품 전문업체 에스엠중신 

  TEL  : 031-319-0913

  FAX  : 031-624-0913

  BLOG : 에스엠중신 : 네이버 블로그


같은 LOT의 고장력볼트라 하더라도 시공,체결시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시공시 같은 K값(마찰계수)을

갖는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현장 보관상태가 비를 맞거나 비닐로 씌워져​ 습기에 노출이 되거나 장기간 사용이 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납품시 볼트제조회사에서 보증한 품질은 이미 적용이 되지 않는 상태이며 

T/S볼트 토오크체결법,H/T볼트 너트회전체결법이든 시공,체결을 한다는 자체가 이미 부실시공을

하고 있는 상태라 할 것입니다

볼트제조회사 자체적으로도 납품시 너트에 인산염피막 처리오류,안정액(도금) 처리오류등으로

불량제품이 입고될 가능성이 있는데 체결시점이 다르고 보관에 문제까지 있다면 단순히 볼트,너트

표면상의 문제가 유관상 확인이 안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1차 시공시와 같은 힘으로 체결하면 안되는

K값(마찰계수) 상태가 됐다고 할 것입니다

DTI washer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체결시점이 다르거나 보관상태에

다소 문제점이 있더라도 볼트 시공에 있어 일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해 줍니다


여기서는 이번에 사우디로 출하되는 DTI washer의 출하전 입회검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팩킹리스트에 맞추어 수출용 파렛트에 제품준비를 완료하였습니다

입회검사시 고객측 검사자가 수량확인을 하여야 하므로 랩처리등 추가조치는 하지 않았습니다




고객의 발주는 현장 사용량에 맞추어 나온 것이기 때문에 입회검사시 사용되는 DTI washer는

규격별 같은 LOT로 10개씩 추가로 준비해 놓았습니다

M24의 경우 LOT가 2개이기 때문에 LOT별 2SET의 샘플을 준비하였습니다

경험에 비추어볼때 사우디현장은 모래바람 및 작업자의 부주의등의 원인으로 분실율이 높습니다



DTI washer 시험의 핵심은 사전에 현장에서 체결하고자 하는 목표 체결력(kN)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볼트제조사의 시험성적서를 참조하여 설계에서 특정된 체결력으로 시험을 진행하고 조임체결의

합격조건에서의 주황색 실리콘(Silcon) 분출량을 육안으로 계량하여 기록하고 다음 체결시

처음 기록된 실리콘 분출량에 맞추어 체결력을 결정하면 되는 것입니다

(단 설계에서 특정된 체결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단 첨부된 DTI washer Compression Load의

하한값과 상한값의 중간으로 결정합니다)

간혹 DTI washer가 기능성와셔라 하여 규격별 Compression Load 하한값에 맞추어 실리콘이

분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검사자분들이 계신데 ASTM F959/959M에도 기술되어 있듯이

목표 체결력에 맞추어 볼트,너트,와셔를 체결하였을때 얼마만큼의 실리콘이 분출되었고

다음에 체결시 이 기록을 근거로 목표체결력을 찾아가는 가이드를 하는 것이지 하한값에서 실리콘이

분출되고 상한값에서 실리콘 분출이 멈추는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DTI washer의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규격별 길이가 맞는 볼트샘플과 규격별 DTI washer가

준비되어야 합니다 또한 규격별 Compression Load 범위의 체결력(kN)이 맞는 이동식축력계와

토오크렌치 또는 너트런너를 준비해야 합니다

이번시험에서는 M20,M22,M24의 DTI washer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400kN까지의 이동식축력계와

토오크렌치를 세팅하였고 M30의 DTI washer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800kN까지의 이동식축력계와

너트런너를 세팅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M20,M22,M24 DTI washer 시험의 경우 너트런너로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시험자 입장에서는 보다 편한 방법이긴 하지만 너트런너로 시험 할 경우 한번에 목표체결력에 도달하므로

실리콘이 분출되는 시점이나 분출되어가는 과정등에 대해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다소 힘이 들더라도

토오크렌치로 체결하며 중간과정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기로 하였습니다

M30의 경우에는 웬만해선 300kN이상의 힘까지 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너트런너로

체결을 진행하였습니다







1)해당 볼트에 발생 시키고자 하는 목표 체결력(kN)을 사전에 결정합니다

  (설계에서 특정된 체결력이 없는 경우에는 DTI washer Compression Load의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의 중간값으로 합니다)

2)해당볼트와 DTI washer를 하단 첨부된 DTI INSTALLATION에서의 순서로 축력계를 설치합니다

3)Non-Impact Type의 Wrench를 사용하여 축력계의 축력값이 1에서 특정한 값의 1.05배가

  될때까지 조임을 실시합니다

4)조임에 있어 공구의 성능(N.m)이 현장에서의 토르크계수 변화로 공구의 회전력이 충분하지 못해

  축력값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토르크계수 조절을 위해 볼트체결용 WAX를 볼트 나사산 또는

  너트 BASE부에 적당량 도포한 후 작업을 진행합니다

5)분출형(Squirter Type) DTI washer의 경우에는 의미가 없으나 분출형 DTI washer가 아닌 경우

  틈새게이지(Feeler Gauge)를 사용하여 해당 조임 축력값에서의 사라진 틈새 개수를 측정합니다

  - 틈새게이지 0.005" : DTI washer를 너트측에 설치한 경우와 DTI washer를 도금한 경우

  - 틈새게이지 0.015" : DTI WASHER를 볼트측에 설치한 경우

  - 틈새게이지 유/무는 조임시작전에 틈새게이지가 들어갔던 최대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반 이상 

    들어가면 틈새가 남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6)해당 조임 축력값에서의 주황색 실리콘 분출개수 및 분출량을 육안으로 계량하고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록하며 총5회 검사를 실시하고 평균값을 산출합니다

7)철골에서 시공시 공구의 파워설정은 조임체결시 사용된 공구파워에 10%증가한 값으로 Limit를

   설정하며 최초 100개까지의 시공에서는 실리콘(Silicon) 분출량 확인검사와 틈새검사를 병행

   실시합니다(필수가 아닌 권장)

   100개가 넘어서는 Squirter DTI washer에 대한 육안검사를 적용하여 시공 및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분출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Squirter DTI washer에 대해서만 틈새검사를

   실시하고 추가 조임여부를 결정합니다

8)철골에서의 시공작업 중 동일 공구로 DTI washer를 필요한 만큼 누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볼트체결용 WAX를 함께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Squirter DTI washer(실리콘 분출형)의 경우에는 틈새게이지(Feeler Gauge)를

사용한 틈새검사가 필수 사항이 아닙니다

고층건물에 시공되어 있거나 측정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DTI washer의 경우 안전성과 효율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Squirter DTI washer(실리콘 분출형) 자체가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규격별 같은LOT에 대한 사전검사를 위해 안전성이 보장된 장소에서는 사용을 형식적으로

권장하는 편입니다




규격별 시험진행이 완료된 DTI washer에 대해 분출량을 계량합니다


 

상기와 같은 양식으로 규격별 DTI washer 체결력 검사표에 실리콘(Silicon) 분출량 및 축력계값을
사진과 함께 기록합니다


규격별 제조사 시험성적상 Compression Load값과 비교하여도 범위한 큰 이상이 없으므로 검사를 완료합니다

 


 


 
 


 
 
���� ����